분류 전체보기
-
프로세스의 상태OS 2020. 10. 26. 17:11
프로세스 / 스레드란?를 통해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알아보았다. 프로세스는 실행 흐름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데 이 상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프로세스의 상태 프로세스는 실행의 흐름에 따라 상태가 변합니다. 상태를 정의하는 이름은 운영체제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서로 비슷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프로세스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5개의 상태로 정의됩니다. 생성 (New) : 프로세스 생성 상태 준비 (Ready) : 프로세스가 초기화와 같은 작업을 통해 CPU에 할당되기를 기다리는 상태 실행 (Running) : 프로세스가 CPU에 할당되어 실행 중인 상태 대기 (Waiting) : 보류(Block)라고도 하며, 프로세스가 입출력이나 이벤트를 기다리는 상태 (해당 작업이 끝나면 다시 CPU에 실행..
-
TCP Flag란?네트워크 2020. 10. 22. 23:16
3-Way / 4-Way Handshake를 통해서 TCP의 통신 연결 및 종료 방식을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서 사용된 SYN, ACK, FIN Flag 외에 어떤 TCP Flag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TCP Flag 우선 Flag란 무엇인가를 기억해야 하거나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게 약속된 신호를 남기기 위한 용도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미리 정의된 비트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Control Flag에 대한 필드들이 TCP 헤더에 6개가 존재하며 각각 1비트로 필드 내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들을 이용하여 논리적인 TCP 연결회선 제어 및 데이터 관리를 하게 됩니다. TCP Flag 종류 SYN (Synchronize) 연결 요청 플래그 TCP에서 세션을 성립할 때 가장 먼저 보내는 패킷입니다. 시퀀스 번호..
-
앞으로의 계획끄적끄적 2020. 10. 22. 00:16
알고리즘 선생님께 배우고 있는 알고리즘 강의 및 복습 + 지금처럼 매일 백준 /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 예정 알고리즘도 포스팅을 꼭 할 예정 아직 알고리즘은 한참 멀은거 같다^^ CS지식 선생님께서 내주시는 숙제 + 지금처럼 계속해서 면접에 나오면서 꼭 알아둬야 할 CS를 포스팅 할 예정 개발 Vue.js + Spring Boot로 만들었던 게시판 코드를 복습 겸 포스팅 할 예정 간단한 토이 프로젝트 아이디어 생각중.. (프레임워크는 그대로 + TDD) 자바 공부 (특히 스트림) 목표 프로젝트 경험 + 인적 네트워크 + 더 공부하고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기에 우테코랑 ssafy 지원 예정
-
프로세스 / 스레드란?OS 2020. 10. 21. 21:30
자바 교육을 들을 때, 스레드를 배웠는데 당시에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들었던 거라 "스레드가 뭐지..? 프로세스는 또 뭐야.." 라는 생각과 함께 의미없이 코드만 따라 쳤었다. 조금 많이 늦은거 같지만 지금에서야 면접 대비 겸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정리해본다. 프로그램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원하는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올바른 수행절차를 표현해 놓은 명령어들의 집합입니다. 프로세스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무엇일까요? 프로세스는 운영체제(OS)가 메모리 등의 필요한 자원을 할당해준 실행 중인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운영체제로 부터 실행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받아 프로세스가 되는 것입니다. 프로세스는 각각 Code, Data, Stack, Heap과 같은 독립된 메모리 영역..
-
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후기후기 2020. 10. 19. 20:59
2020. 10. 17 토요일에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치고 왔다. 공부 기간은 10.1 부터 시작해서 대략 2주 조금 넘게 공부했던 것 같다. 실기 필답형의 경우는 식품기사 때도 경험을 해봤기에 책을 많이보면 볼 수록 이득이다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렇기에 2주라는 시간은 비전공자인 나에게는 적은 시간이었다는게 조금 아쉬웠지만, 내 잘못이기에 어쩔수가 없었다ㅜㅜ 나는 서울에서 살고 있지만 바보같이 신청을 늦게하는 바람에 대전까지 가서 시험을 치고 왔다 (듣기로는 인원이 가득차면 시험 장소를 더 풀어준다고 한다. 근데 그걸 몰랐기에...) 문제는 총 20문제였는데 이번에 약술형이 무려 6문제나 나왔다. 약술형에 정말 쥐약인지라 처음 문제 받았을 때 눈을 의심했다.. 그래서 약술형은 제외하고 프로그래밍, S..
-
REST API란?네트워크 2020. 10. 10. 00:13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노테이션으로 @RestController를 몇번 사용했던 적이 있다. 당시에는 비동기로 데이터를 받기 위해 사용한다 정도만 알고 있었고 이것저것 배우는거에 바빠서 더 깊게 공부할 시간이 없었다. 물론 변명이다.. 그러다 요번에 Vue.js와 SpringBoot를 이용해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면서 REST API로 서버를 구현하다 보니 이번에야 말로 REST API를 공부해보자라는 결심이 들었고 마침 블로그도 하고 있으니 간단하게 포스팅도 하게 되었다. REST API란? REST API는 HTTP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인 로이 필딩(Roy Fielding)이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써 2000년도에 논문에서 발표한 것으로 여기서 REST는 Representatio..
-
3-Way / 4-Way Handshake네트워크 2020. 10. 4. 15:20
이전 글을 통해 TCP/IP 및 TCP, UDP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에서 TCP를 이용할 때, 통신을 하기 전에 3-Way Handshake를 통해 연결을 맺고 4-Way Handshake를 통해 연결을 끊는다고 했는데 이것에 대해 조금 더 알아봅시다. 3-Way Handshake TCP는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establish)하기 위하여 3-Way Handshake를 사용합니다. TCP 3-Way Handshake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는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방 컴퓨터와 사전에 세션을 수립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즉, 3-Way Handshake의 역할은 양쪽 모두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
HTTP Response Status Code (응답 상태 코드)네트워크 2020. 10. 1. 16:36
전에 HTTP Request / Response 메시지 구조에 이어서 HTTP Response Status Cod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 개발 공부를 하다보면 흔히 볼 수 있는 상태 코드가 200, 404 일겁니다. 더 나아가 권한과 관련된 403이나 서버와 관련된 500번대 코드를 보게 되실건데 교육 받을 당시, 강사님께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에러가 발생하면 차라리 500번대 코드를 보는게 수정하기 더 편할거다 라고 말씀하시고 공감이 갔던게 기억이 나네요. 아무튼 이러한 코드의 종류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HTTP Status Code HTTP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Request를 하고 그에 따라 서버가 Response를 했을 때, 요청한 결과가 어떻게 처리되었는지를 알려..